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Volume Changes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Hearing science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0;4(1):9-13.
Volume Changes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Seung Hwan Lee, Chul Won Park, Seok Hyun Cho, Seung Won Jeong, Hye Kyung Park, Dong Suk Muh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소아의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 후 중이강 및 유양동의 체적 변화
이승환, 박철원, 조석현, 정승원, 박혜경, 문동숙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Imdedance audiometer is a clinically useful method for measuring the physical volume of pneumatized middle ear and mastoid medial to the hermetically sealed probe tip.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volume changes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65 ears affected by otitis media with effusion were treated by insertion of ventilation tube (VT). Following VT insertion, the pneumatized middle ear and mastoid volume was measured by using an impedance audiometer at regular interval. Postoperatively, the mean volumetric increasement at l day was 1.89±1.65 ml, and the maximal volumetric increasement was 4.24±2.17 ml. The mean time to reach the maximal volume increasement was 24.35±26.92 days. Otitis prone child show significantly low maximal volume increasement than non-otitis prone child (Asymptotic significance=0.02). The compliance valu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volume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after ventilation tube insetion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Keywords: Stitis media with effusion;Ventilation tube;Volume of middle ear and mastoid.

교신저자:이승환, 471-020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249-1
                전화) (031) 560-2360, 전송) (031) 566-4884, Email) shlee@hmc.hanyang.ac.kr

서     론


삼출성 중이염은 소아의 만성 이과 질환 중 가장 흔히 이환되는 질환으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중이강내에 삼출액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환기관 삽입술의 적응증이 된다.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 후 중이 및 유양동의 점막 병변의 회복과 함께 이관기능의 회복이 예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알려져 있다. 환기관 삽입 후 중이 및 유양동의 삼출액이 배출되고, 염증이 감소함에 따라 점막의 부종이 소실되면서 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저저들은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 후 체적의 변화를 impedance aud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변화되는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impedacne audiometer를 이용한 체적측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삼출액의 양상과 otitis prone의 여부에 따라 1일 체적의 증가, 최대 체적의 증가, 및 최대 체적에 도달한 기간과의 관계, 합병증 발생과의 관계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999년 1월부터 동년 10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학 교실에서 삼출성 중이염으로 진단받고 환기관 삽입술을 시행받은 후 최소 6개월 이상 외래추적관찰이 가능했던 소아 41명(65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   법

대상 환자 모두 전향적으로 protocol을 작성하여 성별, 나이, 삼출성 중이염의 과거력, 진단일, 유병기간, 약물적 치료기간, 술전 고막소견, 수술시 중이 저류액의 양상, 수술 후 이루 및 환기관의 조기 이탈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 환기관 이탈 시기등을 기록하였다. 삼출성 중이염의 과거력, 진단일, 유병기간, 약물적 치료기간등을 고려하여 급성 중이염이 6개월에 4회 이상, 12개월에 6회이상 발병한 경우와 양측의 삼출성 중이염이 3개월 이상, 일측의 삼출성 중이염이 6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를 otitis prone인 군으로 하여 otitis prone이 아닌 군과 구별하였다.1) 수술시 중이 저류액의 양상에 따라 삼출액이 없었던군, 수양성인 군, 점액성인 군으로 구별하였다. 수술방법은 전 례에서 전신마취하에 고막 절개술은 전하방에 시행하였고, 중이내 삼출액을 흡인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중이세척은 시행하지 않았고, 환기관은 Paparella I형을 사용하였으며, 점이액은 사용하지 않았다. 체적의 측정은 술전, 술 후 12시간, 1일, 5일, 10일, 20일, 1개월, 그 이후에는 1개월마다 시행하였다. 체적 측정시 GSI 33 middle ear analyser를 사용하였고, probe tone은 226 Hz, 85dB SPL을 사용하였고, 펌프속도는 50 daPa/sec로 하였다. 체적 측정전 이경검사후 필요시 외이도 청소 및 이구를 제거하였고, 동일 환자에게 동일한 크기의 ear probe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환자에 대하여 2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중이 및 유양동의 체적은 술 후 측정치에서 외이도의 체적에 해당하는 술 전 측정치를 감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비모수적 검정법으로 2개 집단간의 비교는 Mann-Whitney test, 3개 이상의 집단간의 비교는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정은 Asymptotic singificance(이하 AS) 0.05이하로 하였다.

결     과

성별분포는 남자 22례(36귀), 여자 19례(29귀)였으며, 연령분포는 3~7세로 평균 5.82세이었다. 환기관 삽입 후 1일의 체적 증가는 평균 1.89±1.65 ml이었고, 최대체적의 증가는 평균 4.24±2.17 ml이었다. 최대체적에 도달한 기간은 평균 24.35±26.92일이었다. 각각의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후 시간에 따른 체적의 변화를 관찰하면 대략 1개월까지 체적이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그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체적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Fig. 1).

삼출액 양상과 체적 증가와의 관계

삼출액 양상에 따라 삼출액이 없었던 군은 8귀(12.3%), 수양성인 군은 16귀(24.6%), 점액성인 군은 41귀(63%)로 점액성인 군이 가장 많았다. 환기관 삽입 후 1일의 체적증가는 삼출액이 없었던 군은 2.60±2.33 ml, 수양성인 군은 1.96±1.63 ml, 점액성인 군은 1.69 ±1.44 ml로 삼출액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체적의 증가가 저조한 양상은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AS=0.473, Fig. 2). 환기관 삽입 후 최대체적의 증가는 삼출액이 없었던 군은 3.84±2.19 ml, 수양성인 군은 4.38±2.28 ml, 점액성인 군은 4.22±2.22 ml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AS=0.881, Fig. 3). 환기관 삽입 후 최대체적에 도달한 기간은 삼출액이 없었던 군은 18.0±20.58일, 수양성인 군은 13.5±11.24 일, 점액성인 군은 30.2±30.9 일로 삼출액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AS=0.162, Fig. 4).

Otitis prone의 유무와 체적 증가와의 관계

Otitis prone이 아닌 군은 50귀(76.9%)이었고, otitis prone인 군은 15귀(23.1%)이었다. 환기관 삽입 후 1일의 체적증가는 otitis prone이 아닌 군은 2.12±1.68 ml, otitis prone인 군은 1.18±1.35 ml로 otitis prone인 군에서 체적의 증가가 저조한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AS=0.33, Fig. 5). 환기관 삽입 후 체대체적의 증가는 otitis prone이 아닌 군은 4.70±2.11 ml, otitis prone인 군은 2.87±1.77 ml이었고, AS 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ig. 6). 최대체적에 도달한 기간은 otitis prone이 아닌 군은 23.67±25.66일, otitis prone인 군은 26.39±31.12일로 otitis prone인 군에서 최대체적에 도달한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AS=0.603, Fig. 7).

고     찰

삼출성 중이염은 소아에서 급성 중이염 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의 하나로 그 치료에 있어서 1954년 Armstrong2)이 vinyl tube를 고막절개창에 삽입하여 수 개월간 중이를 환기시키는데 있어서 좋은 결과를 보고한 이후, 중이내 환기관 삽입술은 삼출성 중이염 환자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고, 환기관의 재료, 모양, 그리고 크기에 관한 많은 발전이 있었다. 삼출성 중이염의 원인으로 이관의 기능부전이 가장 중요한 원인의 하나로 생각되어져 왔고, 환기관은 이러한 이관기능을 대체하는 술식으로 중이 및 유양동의 환기 및 배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함기화된 측두골의 체적을 측정하려는 노력으로 1940년 Diamant3)는 측두골 단순 촬영에서 plantimetry를 이용하여 체적을 측정하였고, 1963년 Flisberg4)는 Boyle-Charles's law를 이용하여 외이도 및 중이의 체적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83년 Sederberg-Olsen5)은 impedance audiometer를 이용하여 외이도와 중이의 체적을 측정하여 compliance의 최대치가 5 ml라고 보고하였고, 삼출성 중이염의 재발률과 중이의 체적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이체적이 적은 군에서 재발률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1984년 Ikeda6)는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 후 측두골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술 전과 술 후 연조직 음영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중이강과 유양동에서는 현저히 연조직 음영이 감소하였으나, 유양동 함기세포의 연조직 음영은 별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1988년 Tashima7)는 21명의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 후 함기화된 중이 및 유양동의 체적을 측정하였다. 환기관 삽입 후 즉시 발생한 체적의 증가는 1.56±1.13 ml였고, 3개월까지 체적이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특히 1주에서 1개월 사이에 의미있게 체적이 증가하였고, 3개월 이 후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체적의 변화는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1993년 채 등8)은 정상 20대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250 Hz로부터 2,000 Hz까지 probe tone을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tympanogram에서 중이 공명주파수, 최초 static compliance, peak pressure, peak pressure static compliance 및 tympanogram의 폭을 측정하여 한국 성인의 multiple frequency tympanometry 정상치를 구하였다. 대부분의 tympanometry는 226 Hz의 probe tone을 사용하며, 이와같은 저주파수의 probe tone을 사용하였을 경우 중이의 stiffness reactance를 잘 반영한다. 중이의 admittance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며, probe tone을 226 Hz로 하였을 경우 얻어지는 admittance(mmhos)는 중이의 체적(ml)와 동일하다.9)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함기화된 중이 및 유양동의 체적을 측정하였다. 수술시 삼출액의 양상이 정 등10)은 장액성 15.2%, 점액성 62.8%, 저류액이 발견되지 않았던 예가 22%라고 보고하였고, 안 등11)은 164귀에서 장액성 25귀(15.2%), 점액성 103귀(62.8%), 중이강내 저류액이 없었던 예가 36귀(22.0%)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삼출액이 없었던 군은 8귀(12.3%), 수양성인 군은 16귀(24.6%), 점액성인 군은 8귀(12.3%), 그리고 glue인 군은 33귀(50.7%)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환기관 삽입 후 1일의 체적 증가는 평균 1.89±1.65 ml였고, 이것은 중이강 및 유양동에 저류되어 있던 삼출액이 배출된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환기관 삽입 후 최대 체적의 증가는 평균 4.24±2.17 ml였고, 이것은 함기화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점막 부종이 감소함에 따른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환기관 삽입 후 최대 체적에 도달한 기간은 평균 24.35±26.92 일이었고, 최대 체적에 도달한 이 후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체적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환기관이 중이 및 유양동 점막 부종의 소실과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이 최소한 1개월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 Otitis prone인 군에서 최대 체적의 증가는 otitis prone이 아닌군과 비교하였을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Asymp. sig.=0.02), 이것은 otitis prone인 군에서 보다 유양동의 함기화가 불량하고, 중이 및 유양동 점막의 병변이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비후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환기관 삽입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2귀에서 환기관이 2주내에 조기 이탈되었는데,,이 경우에서는 술 후 최대 체적의 증가가 각각 1.8 ml, 1.3 ml였으므로 환기관 삽입 후 최대 체적의 증가가 저조한 군은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추후 더 많은 증례를 통해서 증명해 볼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결     론

저자는 1999년 1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삼출성 중이염으로 환기관 삽입술을 시행 받은 41명(65귀)를 대상으로 imdedance audiometer를 이용하여 중이 및 유양동의 체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기관 삽입 후 1일의 체적의 증가는 평균 1.89±1.65 ml이었다.
2) 환기관 삽입 후 최대 체적의 증가는 평균 4.24±2.17 ml이었다.
3) 환기관 삽입 후 최대 체적에 도달한 기간은 평균 24.35±26.92 일이었다.
4) Otitis prone인 군에서 otitis prone이 아닌 군에 비해 최대 체적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조하였다(Asymptotic significance=0.02).
이상에서 환기관 삽입술 후 체적을 측정함으로써 중이 및 유양동 점막의 회복 여부 및 그 추이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ndrew FI. Tympanostomy tubes.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Schuller DE, editor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998;478-87.

  2. Amstrong BW. A new treatment for chronic secretory otitis media. Arch Otolaryngol 1954;59:653-4.

  3. Diamant M. Otitis and pneumatization of the mastoid bone. Acta Otolaryngol (Stockh) Suppl 1940;41:1-149.

  4. Flisberg K, Ingelstedt S, Ortegren U. Clinical volume determination of the air-filled ear space. Acta Otolaryngol (Stockh) Suppl 1963;182:39-42.

  5. Sederberg-Olsen JF, Sederberg-Olsen AE, Jensen AM.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air volume in the middle ear for the tendency to recurrence of secretory middle ear condition. Pediatr Otolaryngol 1983;5:179-87.

  6. Ikeda K, Sakurai T, Kobayashi T. CT scan of pathology and effect of therapy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 childhood. Pract Otol (Kyoto) 1984;77:1565-72.

  7. Tashima K, Tanaka S, Saito H. Volumetric changes of the aerated middle ear and mastoid after insetion of tympanostomy tubes. Am J Otolaryngol 1986;7:302-5.

  8. Chae SW, Lee KS. The change of tympanometry in different frequency probe tones. Korean J Otolaryngol 1993;36:1124-33.

  9. Stanley AG. Essentials of audiology. New York: Thieme Medical Publishers, Inc., 1997;217-52.

  10. Jeong JH, Lee WB, Hwang SK, Yoon YH, Lee SH. Clinical observation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1988;31:395-402.

  11. Ahn M, Choi G, Choi JO, Yoo HK. A clinical comparative study on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 adults and children. Korean J Otolaryngol 1988;31:585-91.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