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Study of Ofloxacin Ear Drops versus Amoxicillin/Clavulanic Aci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1998;2(2):181-189.
A Study of Ofloxacin Ear Drops versus Amoxicillin/Clavulanic Aci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Kwang Sun Lee, Seock Bum Suh, Suk Jung Hong, Jeong Eun Shi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만성화농성중이염 환자에서 Ofloxacin 이점적액과 Amoxicillin/Clavulanic Acid의 치료 효과 비교
이광선, 서석범, 홍석중, 신정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iciency of ofloxacin ear drops, amoxicillin/clavulanic acid was compare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The patients were arbitrari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wenty-nine patients and treated with 0.3% ofloxacin eardrops for 7 days, and the other group which have 29 patients was treated with 500 mg t.i.d. of amoxicillin/clavulanic acid per mouth for 7 day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ototelescope and surgical microscope on 3rd day, 7th day, and 14th day after the medications.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of medication, subjective symptom(otorrhea) and objective symptoms(redness and swelling of the middle ea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ofloxacin treated group when it was compared to the amoxicillin/clavulanic acid treated group(chi-square test, p<0.05). The amount and nature of otorrhea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ofloxacin group(chi-square test, p<0.05) compared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treated group. All the patients in both group were not showed any adverse side effects except mild gastrointestinal discomfort 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treated group. In the laboratory test, amoxicillin/clavulanic acid treated group showed slightly increased aspartic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decreased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however, the changes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 changed numbers were within normal limi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pure-tone audiograms in both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floxacin ear drops was more efficacious and efficient in the short-term following up of initial treatment of active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in the comparison to the oral amoxicillin/clavulanic acid. 

Keywords: Ofloxacin;Amoxicillin/Clavulanic acid;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서론 만성중이염은 고막천공과 더불어 이루(otorrhea), 난청을 동반하며 염증성 병변은 중이 뿐 아니라 중이 주변의 측두골의 염증이 동반되는 것이 보통이다. 만성중이염은 만성화농성중이염과 만성진주종성중이염으로 분류되며 만성화농성중이염이 약 65∼70%를 차지하고 있다.1) 만성중이염의 치료 원칙은 병의 재발을 방지하고 청력을 보존하는데 있으며 치료 방법은 항생제 등의 약제 투여와 수술로 크게 나뉘며 대부분의 만성중이염은 수술로 치료하며 특히 진주종성중이염인 경우 수술이 우선된다는 것에는 이론이 없다.2) 이는 진주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변이 확대되고 이에 의한 합병증이 호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주종성중이염이 아닌 만성화농성중이염인 경우의 치료 방침은 고막 천공은 있으나 이루가 없는 정적인 만성화농성중이염인 경우 고식적인 치료가 가능하나 급성 염증이 병발한 경우 심한 이루를 동반하고 있어 이루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야 한다. 급성 염증에 의한 이루가 심한 경우 수술 후 청력 회복 및 만성중이염의 재발 방지에 불리하다.3) 수술시 이루의 여부 혹은 염증의 정도에 따라 수술결과를 달리할 수 있어 수술에 대한 시기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3) 그러므로 이루가 심한 경우 수술전 염증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만성화농성중이염 환자에서 이루가 있는 경우 이의 원인균을 찾아 수술 전 투약하는 것이 원칙이고 만성화농성중이염의 원인균은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mirabilis, Bacteroides 등 항생제에 저항이 있는 세균이 흔한 것이 보통이며4)5) 최근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가 만성중이염 환자에서 많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적합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6) 항생제의 투여는 전신적인 투여가 일반화되어 있으나 중이염의 염증이 측두골에 국한되어 국소적인 항생제의 투여도 효과가 입증된다면 환자에게 보다 편리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소 이점적액(otic drop solution)으로 개발된 Quinolone 제제인 Ofloxacin(Tarivid) 이점적액을 이용한 Ofloxacin 국소요법과 중이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Augmentin) 제제의 항생제를 구강으로 투여한 전신적인 치료요법과의 효능을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통하여 초진한 환자 중 고막의 천공 및 이루가 있으며 청력손실이 있는 만성화농성중이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만성중이염으로 수술 받은 경력이 없는 환자들로 진주종성중이염인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의 환자들은 총 58명으로 무작위로 2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투여군은 각각 29명으로 1군은 Ofloxacin 이점적액을 국소 투여하였고 다른 군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를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약제 투여 방법은 0.3% Ofloxacin 이점적액인 경우 1일 6방울씩 2회 12시간에 걸쳐서 환자 자신이 환측 귀에 국소 투여하였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는 375 mg 2tablet을 3회에 걸쳐서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약제 투여 후 약효 검증에 대한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관적인 증상, 객관적인 증상, 객관적인 이루의 분석의 평가를 증상에 따라 4단계로 나누어 가장 심한 정도를 3, 중등도의 증세가 있는 경우 2, 증세가 경미한 경우 1, 증세가 없는 경우 0으로 점수화 하였다. 각 증상에 대한 검사는 약제 투여 전, 약제 투여 3일 후, 약제 투여 후 7일, 약제 투여 14일 전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투약 전 및 투약 후의 혈액검사, 간기능검사, 소변검사, 청력검사를 비교하여 약제에 대한 전신적인 영향 및 청력의 변화를 검사하였다. 외래를 통하여 방문한 환자들은 투약하기 전 및 투약 후 현미경 혹은 귀내시경으로 고막을 검사하였으며 검사의 객관화를 위하여 고막을 촬영하여 사진으로 남겼다. 세균 및 진균검사는 투약 전 각각 시행하였으며 총 58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혈액검사로 적혈구(Hemoglobin, 이하 Hb), 백혈구, Hematocrit(이하 Hct), 혈소판 등과 간기능검사로 Aspartic Aminotransferase(이하,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이하, ALT)를 검사하였고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총 50명으로 Ofloxacin 이점적액 투여군 23명,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27명이었다. 청력검사는 순음청력검사로 250 Hz에서 8000 Hz까지 공기전도검사와 골전도검사를 측정하였으며 기도-골도차(air-bone gap, 이하 ABG)를 500 Hz, 1000 Hz, 2000 Hz의 산술평균을 구하여 청력을 비교하였다. 청력검사에 대한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총25명으로 Ofloxacin 투여군이 17명,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이 8명이었다. 각각의 결과에 대한 유효성에 대한 통계처리는 SP SS통계 프로그램(ver 7.0)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로 시행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 연구에 참여한 환자 58명의 평균연령은 Ofloxacin 투여군은 평균 41.4세(13∼60세)이었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평균 42.4세(12∼69세)이었다. 남녀의 비는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7:21로 여자가 많았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14:14로 남녀가 같았다. 주관적 및 객관적인 증상의 변화의 분석에 포함된 환자 43명에 대한 연령분포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12세부터 69세로 평균 42.8세이었고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13세로부터 60세로 평균 41.1세이었다. 두 투여군의 연령 분포는 Fig. 1과 같이 10대부터 60대까지 분포되었다. 세균검사 결과 약제 투여 후 세균검사를 시행한 총58명의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MRSA가 많아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MRSA가 45%이었고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27%이었다.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다음으로 많았던 균은 Staphylococcus aureus로 28%이었고 진균과 Psudomonas aeruginosa가 각각 7%이었다. Olfoxacin 투여군에서 MRSA 다음으로 많았던 균은 진균으로 Aspergilus와 Candida가 14%이었고 다음으로 Psudomonas aeruginosa와 Staphylococcus aureus로 각각 10%이었다. 균이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도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10%, Ofloxacin 투여군에서 14%이었다(Fig. 2). 결과 주관적 및 객관적 증상의 변화 약제 투여 전후의 증상변화의 세부 사항은 (1) 주관적인 증상 5항목 즉, 이통(otalgia), 이루(otorrhea), 이충만감(ear fullness), 두통(headache), 어지러움증(dizziness)과 (2) 객관적인 증상 3항목 즉, 발적(redness), 종창(swelling), 고막천공(perforation), (3) 분비물 2항목. 분비물의 양(amount), 분비물의 형상(type) 등 총 10가지 항목에 대하여 문진 및 관찰을 통하여 각 항목의 정해진 grading system으로 평가 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 58명 중 주관적 및 객관적 검사 및 주관적인 이루에 대한 평가에 포함된 환자는 총 43명으로 이 중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21명이었고, Ofloxacin 투여군은 22명이었다. 43명의 환자들의 세균검사 결과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MRSA가 단독으로 검출된 경우가 31%, MRSA 및 기타 균이 같이 검출된 경우가 14%로 총 MRSA가 검출 45%에서 있었고 Ofloxacin인 경우 MRSA가 단독으로 검출된 경우가 19%, MRSA와 다른 균이 같이 검출된 경우가 14%로 MRSA가 33%에서 검출되었다. MRSA 이외의 균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Staphylococcus aureus가 26%, Psudomonas와 진균이 각각 5%이었고 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도 14%이었다.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진균이 24%, Psudomonas aeruginosa가 14%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가 10%, 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가 5%이었다. 주관적 및 객관적 증상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인 수치는 Table 1에 요약하였고 각 항목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주관적인 증상의 변화 주관적인 증상은 5개 항목, 이통(otalagia), 이루(otorrhea), 이충만감(ear fullness), 두통(headache), 어지러움증(dizziness)으로, 각 항목은 투약 전(Day 0), 투약 후 3일, 투약 후 7일, 투약 후 14일째에 각각 환자에게 증상의 정도를 문진하여 증상이 없는 경우 0, 경미한 증상인 경우 1, 중등도의 증상인 경우 2, 증상이 심한 경우 3으로 하여 grading하였다. Fig. 3은 5개 항목의 주관적인 증상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Ofloxacin 이점적액의 국소투여와 Amoxicillin/Clavulanic acid의 경구 투여를 한 후 증상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에서와 같이 5개의 주관적인 증상은 두 군 모두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14일 후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었다. 주관적인 증상 중 각 항목에 대한 결과를 보면 이통은 Ofloxacin 투여군과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두 군 모두에서 grade 평균 0.5 미만으로 경미하였고 두 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7일 p=0.825, 14일 p=1.000). 투약 후, 어지러움증은 투약 전 증상의 grade 평균이 각각 경미한 1 미만이었으며 두 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14일에서 있었다(7일 p=0.086, 14일 p=0.021). 주관적인 증상 중 가장 뚜렷한 증상의 변화는 두 군 모두 이루였으며 투약 전 증상의 변화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2.0에서 투약 후 7일 1.24, 14일 0.90이었다.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grade의 변화는 투약 전 증상 grade가 1.95에서 7일 0.59, 14일 0.50으로 급격한 호전을 보였으며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7일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7일 p=0.12, 14일 p=0.355). 항생제에 저항을 보이는 균주인 MRSA, Psudomonas aeruginosa, 및 진균에서의 균주 별로 본 이루 감소의 차는 7일 및 14일에 두 약제 모두 증상의 감소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는 7일째 MRSA에서 Ofloxacin 투여군의 증상의 호전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보다 우수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p=0.006) 있었다(Fig. 4). 두통의 경우 두 군 모두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는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투약 전 1.05 에서 투약 후 14일 0.38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0.77에서 투약 후 14일 0.27 로 감소하여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주관적으로 보다 더 뚜렷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그러나 두통의 감소에 대한 두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7일 p=0.303, 14일 p=0.602). 이충만감의 경우도 두 군 모두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두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7일 p=1.000 14일 p=0.680). 객관적인 증상 객관적인 증상은 3개 항목으로 검사자가 수술현미경 및 귀내시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grade로 평가한 것으로 고막의 충혈(redness), 중이 점막 및 고막의 종창(swelling), 고막 천공 크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가장 뚜렷한 변화는 Ofloxacin 투여군에서 나타났으며 고막의 충혈 및 종창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Fig. 5). Ofloxacin에서 고막의 충혈은 투약 전 1.95에서 3일 후 1.39, 7일 후 0.82, 14일 후 0.68로 호전되었다. 이에 비하여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투약 전 2.05에서 3일 후 1.62, 7일 후 1.55, 14일 후 1.48로 충혈은 감소하였으나 Ofloxacin 투여군에 비하여 증상의 호전이 적었으며 통계학적으로 두 군 간의 증상의 호전의 차가 있었다(7일 p=0.041, 14일 p=0.027). 고막 및 점막의 종창은 투약전 고막의 충혈과 같이 Ofloxacin에서 증상의 호전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보다 의미가 있었으며(7일 p=0.032),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8에서 7일 0.91, 14일 0.73으로 호전되었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4에서 투약 후 7일 1.60, 투약 후 14일 1.33이었다. 고막천공은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1.64에서 투약 후 14일 2.05로 증가하였으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1.81에서 투약 후 14일 1.90으로 증가하였으나 투약 전과 투약 후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7일 p=0.149, 14일 p=0.088). 분비물의 변화 분비물의 변화는 2항목으로 검사자가 수술현미경 및 귀내시경으로 분비물의 양과 분비물의 성상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분비물의 양은 4단계로 구분하여 분비물이 없는 경우 0, 분비물이 있으나 고막 주위에 묻어있는 경우 1, 분비물이 외이도에 흘러 나온 경우 2, 분비물이 외이도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경우 3으로 하였다. 또한 분비물의 성상은 grade 0은 분비물이 없는 경우 이었고 grade 1은 장액성(serous), grade 2는 점액성(mucoid), grade 3는 화농성(purulent)인 경우로 하였다. 분비물의 양은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4에서 투약 후 3일 1.52, 투약 후 7일 0.73, 투약 후 14일 0.68로 뚜렸이 감소하였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4에서 3일 후 1.69, 7일 후 1.62, 14일 후 1.29로 감소하였으나 Ofloxacin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의 폭이 낮았다.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76으로 많은 환자들이 화농성의 분비물을 보였으나 투약 3일 후 2.31, 투약 7일 후 2.0, 투약 14일 후 1.86으로 점액성 분비물이었고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91로 화농성이 대부분이었으나 투약 후 3일 1.93으로 대부분 점액성으로 변하였고 투약 후 7일 1.0으로 장액성, 투약 후 14일 0.77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Fig. 6). 이와 같이 분비물의 양과 성상은 두 군 모두에서 투약 후 분비물의 감소와 성상의 변화가 있었으나 Ofloxacin 투여군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보다 분비물의 감소와 성상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분비물의 양에서 7일 p=0.003, 분비물의 성상에서 7일 p=0.007, 14일 p=0.014). MRSA, Psudomonas aeruginosa, 진균 등 항생제에 저항을 보이는 균주 별로 본 분비물의 양상 역시 Ofloxacin 투여군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보다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두 군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는 없었다(p>0.05)(Fig. 7). 검사실 검사의 변화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의 변화 총 58명의 환자 중 혈액검사, 간기능검사 및 소변검사의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27명,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23명 이었다.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백혈구의 숫자가 평균 6278에서 5578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03). 그러나 Hb, Hct, 혈소판은 통계적인 차가 없었다. 그러나 Ofloxacin 투여군은 혈액검사 백혈구, Hb, Hct, 혈소판은 약제 투여 전 및 약제 투여 7일 및 14일 후 반복 시행하여 비교한 결과 투여 전 후의 통계적인 차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AST/ALT인 경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AST가 평균 18에서 22로(p=0.022), ALT가 평균 20에서 22로(p=0.043)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Ofloxacin 투여군에서는 투약 전 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변검사에서 의미 있는 변화는 두 군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청력의 변화 투약 전과 투약 후 25명의 환자에서 청력 검사를 시행하여 약제 투여와 청력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러나 25명 모두에서 변화는 없었으며 두 투여군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약의 부작용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약간의 소화불량 증상(N=3)이외에는 특이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비교적 흔히 알레르기성 반응을 볼 수 있으나7) 본 연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고찰 주관적인 5개의 증상, 즉 이통, 이루, 이충만감, 두통, 어지러움증 들은 Ofloxacin 이점적액과 Amoxicillin/Clavulanic acid를 투여한 후 각각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어지러움증과 이통 및 두통은 만성중이염의 증상 중 진주종성중이염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며8) 만성화농성중이염 환자인 경우 연구 결과와 같이 증상의 호소가 낮아 치료효과의 여부를 검증하는데 불충분하였다. 즉 어지러움증, 이통, 두통은 두 투여군 모두 투약 전 증상의 정도가 경미한 1.0내외로 두통인 경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투약 전 1.05에서 투약 후 14일 0.38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0.77에서 투약 후 14일 0.27 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투약전 경미한 증상으로 두통의 감소에 대한 두 투여군 간의 비교에서 통계학 적인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이루의 변화는 환자가 느끼는 가장 중요한 치료 효과로 약제의 효능을 대변하게 된다. 이루에서 투약 전 증상의 변화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중등도인 2.0에서 투약 후 14일 0.90이었으나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1.95에서 투약 후 14일 0.50으로 급격한 호전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투약 14일째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약제의 투여 후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은 Ofloxacin 투여군이 신속하게 이루증상의 호전 나타내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객관적인 증상은 의사가 직접 약의 효용성을 평가한 것으로 고막의 충혈, 중이 점막 및 고막의 종창, 고막 천공 크기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투약 후 가장 뚜렷한 변화는 고막의 충혈 및 종창에서 Ofloxacin투여 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즉 Ofloxacin 투여군에서 고막의 충혈은 투약 전 중등도인 1.95에서 투약 14일 후 경미하거나 충혈이 소실되어 0.68로 호전되었으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은 투약 전 중등도인 2.05에서 투약 14일 후 1.48로 충혈은 감소하였으나 Ofloxacin 투여군에 비하여 증상의 호전이 적었다. 또한 고막 및 점막의 종창은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8에서 투약 14일후 0.73으로 호전되었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4에서 투약 후 14일 1.33으로 감소하였으나 Ofloxacin 투여군에서 증상이 더 호전되었다. 이와 같은 검사자에 의한 객관적으로 판단한 증상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있는 차는 Ofloxacin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보다 만성중이염의 단기간의 치료 효과가 크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만성화농성중이염의 세균 분포는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mirabilis 등이 흔하며4)6) 최근의 변화는 일반적인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MRSA의 증가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이며6) 본 연구에서도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는 MRSA가 검출된 경우가 45%, Ofloxcin 투여군에서 MRSA가 27%로 MR SA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투약 전과 투약 후의 주관적 증상 및 객관적 증상을 분석하였던 43명의 환자들의 세균검사 결과에서의 MRSA의 분포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MRSA가 45%에서 검출되어 전체 58명의 환자들의 세균분포와 차이가 없었고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MRSA가 33%에서 검출되어 2군 모두 상 당히 높은 비율의 MRSA 출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MRSA의 높은 발현율은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중이염의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6) MRSA균인 경우 일반적으로 in vitro 항생제 감수성검사에서 Vancomycin 계통의 강력한 항생제에만 감수성를 나타내고 Quinolone제제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계의 항생제에는 저항성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6)9) 이루 및 중이의 충혈 및 종창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다는 것은 만성중이염의 근본적인 치료의 의미는 아니나 약에 대한 감수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이는 in vivo와 in vitro에서의 약효의 차로 볼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세균학적으로 만성중이염환자에서 진균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7%, Ofloxacin 투여군에서 14%를 나타낸 것은 특이하다 할 수 있겠다. 진균인 경우에도 이루 및 분비물의 성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두 투약군 간에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증상의 호전이 있다는 MRSA에서와 같이 in vivo에서 약효가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Quinolone 제제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Psudomonas aeruginosa가 검출된 비율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 5%, Ofloxacin 투여군에서 14%로 Olfoxacin 투여군에서 높았으며 Ofloxacin 투여군에서 증상의 호전을 예상하였으나9-12) 두 투약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는 없었다. 고막천공은 단기간의 약제 투여로 변화가 없는 것이 보편적인 사실이고 실제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1.64에서 투약 후 14일 2.05로 증가하였으며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1.81에서 투약 후 14일 1.90으로 증가하였으나 투약 전과 투약 후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그러므로 객관적인 증상의 호전은 Ofloxacin 투여군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비물의 변화는 의사가 수술현미경 및 귀내시경으로 분비물의 양과 분비물의 성상을 관찰하여 측정한 것으로 객관적인 약효의 평가에 중요한 사항이다. 분비물의 양은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14에서 투약 14일후 0.68로 뚜렷이 감소하였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전 2.14에서 14일 후 1.29로 감소하였으나 Ofloxacin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의 폭이 낮았다. 분비물의 성상은 Ofloxacin 투여군인 경우 투약전 2.91로 화농성이 대부분이 였으나 투약 후 3일 대부분 점액성으로 투약 후 7일째는 장액성으로 변화하였고 투약 후 14일 0.77로 많은 수의 환자에서 분비물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인 경우 투약 전 2.76으로 많은 환자들이 화농성의 분비물을 보였으나 투약 14일 후 1.86으로 투약 후 14일 경에도 점액성 분비물이었으며 Ofloxacin 투여군 보다 많은 수의 환자에서 점액성 분비물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비물의 양과 성상은 약제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결과로 위의 투약 후 분비물의 감소와 성상의 변화에서 Ofloxacin 투여군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약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와 더불어 항생제의 국소투여에 의해 중이강내에서 높은 항생제 농도를 유지하였던 점도 기여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10-12) 약제 투여 후 약제에 의한 영향으로 혈액 및 간기능, 신장기능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혈액검사 및 간기능검사, 소변검사에서 Ofloxacin은 소량의 약제가 국소에 투여 되어 전신적인 검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는 백혈구의 감소와 간기능 검사의 GOT/GPT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변화하였으며 백혈구인 경우 평균 6278에서 5578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p=0.003)하였으나 감소한 백혈구의 숫자는 정상범위내에 있어 숫자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이라고 할 수는 없다. 간기능검사에서 AST/ALT의 증가도 증가한 결과가 40 미만으로 정상범위내에 있어 통계적로 의미있게 증가(p=0.043 및 p=0.022)하였으나 임상적으로 의미는 없다. 청력의 변화는 고막과 중이내의 이소골의 변화에 의하여 청력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나 1주일의 단기간의 투약으로 이의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25명의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청력의 변화가 없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결론 만성중이염 환자에서 Amoxicillin/Clavulanic acid와 Ofloxacin 이점적액의 투약결과, Ofloxacin 이점적액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보다 주관적인 증상 중 이루, 두통, 객관적인 증상에서 고막의 충혈 및 종창, 그리고 분비물의 양 및 성상에서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특히 투약 후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이루가 투약 7일 후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 비하여 Olfoxiacin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고 고막 및 중이강의 충혈 및 부종은 투약 후 14일에서도 의미있게 Ofloxacin 투여군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또한 균주별로 본 두 약제의 비교에서 MRSA균이 검출된 경우 Ofloxacin 투여군이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 비하여 투약 7일 째 임상적으로 이루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투약 전 후의 검사실 검사에서 Olfoxiacin 투여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 투여군에서는 백혈구의 감소 및 AST/ALT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었으나 변화된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어 임상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REFERENCES
1) Browning GG, Picozzi GL, Calder IT, Sweeney G. Controlled trial of medical treatment of active otitis media. BMJ 1983;287:1024. 2) Chae SW, Lee KS. The preoperative prognostic factors in chronic otitis media. Korean J Otolaryngol 1993;36:490-7. 3) Lee KS, Jang IW, Hwang SJ. Revision tympanomastoid surgery in the chronic otitis media. Korean J Otolaryngol 1994;37:21-8. 4) Karma P, Jokipii L, Ojala K, Jokipii AMM. Bacteriology of the chronically discharging ear. Acta Otolaryngol 1978;86:110-4. 5) Brook I, Finegold SM. Bacteriology of chronic otitis media. JAMA 1979;241:487-8. 6) Erkan M, Aslan T, Sevuk E, Guney E. Bacteriology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Ann Otol Rhinol Laryngol 1994;103:771-4. 7) Barlow DW, Duckert LG, Kreig S, Gates GA. Ototoxicity of topical otomicrobial agents. Acta Otolaryngol (Stockh) 1995;115:231-5. 8) Lee KS, Yoon JT, Hwang SJ. Labyrinthine fistula in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Korean J Otolaryngol 1993;36:473-80. 9) Fuchs PC.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and susceptibility testing of ofloxacin. Am J Med 1989;87:S10-3. 10) Yuen PW, Lau SK, Chau PY, Hui Y, Wong SF, Wong S, et al. Ofloxacin ear drop treatment for active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m J Otol 1994;15(5):670-3. 11) Jones RN, Milazzo J, Seidlin M. Ofloxacin otic solution for treatment of otitis externa in children and adult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7;123:1193-200. 12) Esposito S, D'Errico G, Montanaro C. Topical and treatment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ciprofloxaci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0;1161.:557-9.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